빈부격차에 대한 현실을 일깨워준 영화 <기생충>
영화 기생충은 2019년에 개봉한 봉준호 감독의 블랙 코미디 영화이다. 개봉 당시 대한민국은 물론 해외에서까지 엄청난 호평을 받으며, 한국 영화 최초로 칸 영화제에서 황금종려상을 수상했다. 또한 2020년 4개의 아카데미상을 포함하여 다른 여러 상을 수상하였고, 최우수 작품상 부문을 수상한 최초의 비영어권 영화가 되었다. 기생충은 빈부격차에 대한 현실을 일깨워주는 사회적 풍자를 가미한 스릴러물이다. 봉준호 감독님은 자신의 특징인 독특한 스토리와 연출을 이 영화에서 제대로 보여주는 것 같다. 특히 처음에 기생충이라는 영화가 나온다고 했을 때 제목만 보고서 무슨 바이러스 영화인가?라는 생각을 했었는데 예고편을 보고 나서 영화의 내용은 부자인 가족에게 빌붙는 가족이야기였고 제목과 딱 어울리는 가족의 모습에 정말 제목을 잘 지었다라는 생각이 들었다. 기생충은 문화적으로도 큰 영향을 미쳤다. 해외에서는 한국 영화에 대한 관심도 높아졌다. 해외 관객들은 한국의 또 다른 작품을 찾아서 보기 시작했고, 이는 한국의 영화 산업뿐만 아니라 드라마나 예능까지 관심이 이어지면서 한국에 대한 관심이 저절로 늘어나는 연결고리가 되기도 했다. 또한 계급사회와 불평등한 현대 사회의 본질에 대한 영향을 문화적으로 아주 잘 보여주었다. 이 주제는 전 세계 관람객들의 공감을 불러일으키며 사회 구조와 경제적 불평등에 대한 문제를 촉발시키기도 하였다.
영화의 줄거리
영화는 백수인 김기택과 아내인 충숙 그리고 두 자녀인 기우와 기정으로 구성된 가족을 보여주면서 시작한다. 가족은 서울 가난한 동네의 반지하 집에서 살고 있다. 피자 상자를 접는 아르바이트로 생계를 유지하지만 턱없이 돈이 부족하다. 어느 날 기우의 친구인 민혁이 찾아와 과외 알바를 소개해주고 기우는 박사장 가족의 집으로 면접을 보러 가고 합격을 해 박사장의 딸 다혜의 과외선생님으로 일을 하게 된다. 한편 다혜의 동생 다송의 미술선생님을 찾고 있다는 소식을 듣게 된 기우는 제시카라는 미술교사를 소개해준다. 하지만 제시카는 기정이었고, 그녀 역시 박사장의 집에서 일을 하게 된다. 기택의 가족은 그렇게 박사장네 입주가정부와 운전기사를 각종 누명을 씌워 제거하고 본인들이 그 자리를 꿰차게 되는 계획을 세우게 된다. 그 계획은 성공을 하게 되고 가족 모두 정체를 밝히지 않은 채 박사장네 집으로 들어가게 된다. 하지만 문광이 숨겨 놓은 지하 벙커의 존재를 알지 못했고 계획이 성공하였다는 사실을 자축하고 있었다. 하지만 어느 비 오는 날 밤 문광이 집으로 찾아오면서 분위기는 바뀌게 된다. 비밀스러운 지하 공간에 숨어있는 문광의 남편의 존재가 드러나게 된다. 이때부터 기택의 가족은 문광의 가족과 대결을 시작하게 되고 그 과정에서 문광은 사망하게 된다. 그 뒤 클라이맥스는 다송의 생일 파티에서 더욱 고조된다. 문광의 남편이 갑자기 나타나 기정을 칼로 찌르게 되고 기택은 자신의 딸이 칼에 찔려 죽어가고 있지만 무관심한 박사장네 가족을 보고 분노를 참지 못하게 되고 박사장을 칼로 찌르게 된다. 이 과정에서 기우는 치명상을 입게 되고 기택은 범죄자가 되어 문광의 남편처럼 지하벙커에 살면서 영화는 마무리가 된다.
결말 해석
기생충의 결말을 두고 여러 가지 해석이 가능하다. 첫 번째는 사회적, 경제적 불평등을 반영한다는 해석이 있다. 열심히 돈을 벌어 박사장의 집을 구입하겠다는 기우의 결심에도 불구하고 영화는 기우가 경제적으로 낮은 계층에 속하기 때문에 가난의 굴레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점을 알려주고 있다. 또한 아버지와 재회하겠다는 일념으로 집을 사겠다는 꿈을 꾸는 기우에게 불평이 지속되는 사회에서 그러한 열망이 현실적 일지 모호하게 남긴다. 이 해석은 사회적 지위를 향상하려는 사람들이 직면하는 어려움을 강조하는 듯하다. 다른 한편으로는 기우의 결심을 두고 희망의 상징이라고 해석하는 사람들도 있다. 기택네 가족의 비극적인 사건과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기우는 그런 것들에 굴복하지 않는다. 이 해석은 불평등이 만연한 사회에서도 역경을 극복할 수 있다는 믿음을 시사한다. 박사장과 기택네 가족의 생활방식에 대한 뚜렷한 대조는 계층 이동의 어려움과 지속되는 계급의 분열을 강조한다고 볼 수 있을 것 같다. 마지막으로 나는 영화를 보고 나서 엄청난 섬뜩함과 불편함을 느끼기도 했는데 지하실에 숨어 사는 문광의 남편을 봤을 때도 그랬지만 또 기택이 문광의 남편이 한 일을 똑같이 하는 장면에서 너무나 적나라한 사회의 현실을 반영하고 있었다는 것에 대해 섬뜩함을 느꼈었던 것 같다. 그만큼 이영화가 잘 만든 영화라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