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슴 아픈 대한민국의 역사 영화 <1987>
1987년 6월 민주 항쟁의 기폭제가 된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을 둘러싸고 진실은 은폐하려는 세력과 목숨을 걸고 진실을 알리려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다룬 실제 사건을 소재로 한 영화이다. 1987년 당시 사건을 은폐하려던 지시를 무시하고 부검을 강행한 최환 부장검사, 영등포 교도소에서 복역 중이던 전직 기자이자 민주화운동가인 이부영이 옆방에 수감된 고문 경찰관들을 통해 사건의 진실을 알게 된 후 친한 교도관을 통해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에 전달되어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다. 영화의 시작은 이렇게 시작한다. 1987년 대한민국은 계속되는 독재정치와 탄압에 많은 국민들이 항의하며 민주화를 요구하는 시대로 정치적으로 억압된 시대의 분위기 속에서 학생들과 국민들은 시위를 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대학생 박종철의 자살하는 사건이 발생하면서 사회적인 불안과 민심이 고조되었고, 그 후 박종철의 죽음을 둘러싼 진상규명을 요구하는 국민들의 목소리가 높아지면서 큰 파동을 일으키게 된다. 이 처럼 당시 대한민국은 민주주의를 향한 어려움에 직면해 있었다. 경찰과 정부는 국민들의 목소리를 무시하며 시위대에 강경 대응을 하며 사태를 통제하려고 한다. 그렇지만 이런 어려운 상황에서도 진실을 위해 맞서 싸우는 사람들도 있었다. 사람들은 경찰과 정부가 강경하게 대응할수록 더 단결되었고 목소리를 높이며 민주주의를 요구하게 되고 결국 대한민국에서 1987년은 민주화의 기반이 다져지기 시작한 중요한 순간으로 남게 되었다.
시놉시스
1987년 1월 경찰 조사를 받건 22살 대학생이 사망하게 된다. 경찰은 황급히 시신을 화장하려 하지만 담당 검사는 이를 거부하고 부검을 하게 되고 경찰은 단순 쇼크사인 것처럼 거짓 발표를 이어가게 되지만 시신에 남은 흔적은 그 말이 거짓말이라는 것을 알려주고 있다. 사건을 취재하던 기자에 의해 물고문 도중 질식사라는 타이틀로 신문에 보도를 하게 된다. 이런 사실을 알게 된 국민들은 격분하게 된다. 박종철의 부모님은 아들의 죽음에 얽힌 진상을 알리기 위해 힘겨운 여정을 나서게 되고, 이에 경찰은 사건에 관련된 형사 2명만 구속시키며 사건을 축소하려고 한다. 한편 교도소에 수감된 형사들로 인해 사건의 진상을 알게 된 교도관 한병용은 이 사실을 수배 중인 재야인사(설경구)에게 전달하기 위해 조카인 연희에게 위험한 부탁을 하게 되고 연희는 소극적이지만 삼촌의 부탁을 들어주기 위해 노력하게 된다. 실제로 그 당시 경찰이 한 핑계는 "책상을 탁! 치니 억! 하고 죽었습니다"라는 말이었다.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 당시 너무나 말도 안 되는 말로 사건을 은폐하려고 한 말이다. 이 사건을 다룬 다큐멘터리나 뉴스를 봤을 때도 이 말을 듣고 너무나 어이없고 화가 났었는데 이 글을 쓰려고 정보를 찾아보면서 이 사건을 더 자세하게 알게 되니 너무나 터무니없는 거짓말로 국민들을 속이려 한 게 화가 났었다.
등장인물
박처원 대송수사처장 역할은 배우 김윤석이 맡았다. 실제로 철저한 반공주의자였다고 한다. 전두환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을 받는 인물답게 상관을 패는 것은 물론이고, 과격한 성향을 보이는 인물이지만 자신의 부하는 각별히 아끼는 스타일이라고 한다. 이 사건 이후 징역 1년 6개월에 집행유예 3년을 선고받았지만 그 이후 아무런 사과 없이 고문 경찰관들을 지원하는 대부 노릇을 하다가 2008년 사망했다. 최환 서울지방검찰청 공안부장 역할은 배우 하정우가 맡았다.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을 은폐하려던 경찰과 대립해 부검을 진행하는 검사이다. 실존 인물과 이름이 동일하다. 이런 분들이 있어서 다행이라 생각한다. 한병용 교도관의 역할은 유해진 배우가 맡았다. 실제 교도관인 한재동을 모티브로 연기했다. 겉으로는 평범한 교도관이지만 진실을 밝히기 위해 노력하는 인물로 나온다. 조한경 역할은 배우 박희순이 맡았다. 고문에 가담한 형사로 윗선의 꼬리 자르기로 인해 고문의 책임을 뒤집어쓰고 구속되는 인물이다. 윤상삼 역할은 배우 이희준이 맡았다. 동아일보 사회부 기자로 박종철 고문치사 사건의 진상을 신문에 보도하는 핵심적인 인물이다. 실존인물을 모티브로 하였고 윤상삼은 영화가 나오기 전인 1999년 간암으로 사망했다고 한다. 이외에도 많은 배우들이 나오는 아주 좋은 영화이니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한 번쯤 꼭 봤으면 좋겠다.
평론가 평가(리뷰)
이 영화는 실화 배경으로 대한민국 민주화에 발판이 되는 사건을 다루고 있는 내용이다. 일반 관객과 평론가 모두 가리지 않고 호평하여 상영 종료 후에도 꾸준히 사랑받는 영화로 자리매김하였다. 장준환 감독에 대한 평도 바뀐 영화이다. 작품성에 비해 주목도가 낮은 감독이라는 평을 비로소 벗어던진 영화라고 볼 수 있다. 많은 영화평론가들도 아주 좋은 평을 남겨주었다. 그중 평론가 이동진은 "수많은 인물들을 통해 마치 벽화를 그려내는 듯하고, 속도감과 긴장감을 동반해 1987년의 격량을 먹먹하게 담아냈다"라고 호평했다. 평론가 박평식은 역사의 무게에 눌리지 않는 뚝심과 통찰에 디테일을 곁들였으며, 스테인드 글라스의 예수 등 상황과 소품으로 의미를 캐는 솜씨가 빼어나다고 평했다. LA타임스의 로버트 아빌레는 HBO의 걸작 드라마 더 와이어에 빗대어, "인물과 사건을 연결하는 솜씨가 감탄할 만하다"는 호평을 남겼다. 내가 준 평가는 너무나도 1987년 그 당시 대한민국의 현실을 영화를 통해 알기 쉬게 알려주어서 그 세대를 겪어보지 않았지만 그 시대에 살았던 것처럼 느껴지게 하는 영화라고 생각한다. 특히 마지막 연희가 각성하여 시위에 참여하는 그 마지막 장면은 한국 영화의 역대급인 엔딩이라고 생각한다. 그 당시 시위에 참여했던 많은 분들의 노고가 없었더라면 지금의 대한민국은 없었을 거라고 생각된다. 당대 열사들과 운동원들의 노고에 감사할 따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