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년 프리랜서 종합소득세 신고 방법 및 홈택스 환급 정리

by 애매모호한 2025. 4. 29.

안녕하세요 매년 5월이면 해야 하는 종합소득세 신고, 어렵고 복잡하다고 느끼셨죠? 특히 3.3% 세금 떼고 입금받는 프리랜서, 유튜버, 작가, 강사, 디자이너, 블로거 등은 매년 5월이면 종합소득세 신고를 반드시 해야 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프리랜서 종합소득세 신고법, 3.3% 세금 환급받는 방법, 신고 시기, 홈택스에서 직접 신고하는 꿀팁, 주의사항까지 모두 정리했습니다.

종합소득세 신고 바로가기

 

 프리랜서 종합소득세란?

프리랜서 종합소득세란 한 해 동안 프리랜서로 벌어들인 모든 수입(사업소득)을 합산해, 국세청에 신고하고 세금을 정산하는 과정입니다. 프리랜서는 직장인처럼 연말정산 대상이 아니기 때문에 스스로 종합소득세 신고를 해야 합니다

 프리랜서가 신고 대상인 이유 (3.3% 원천징수)

프리랜서로 일할 때 받는 수익은 보통 3.3%를 떼고 입금받는 구조입니다. 이 3.3%에서 3%는 소득세, 0.3%는 지방소득세입니다. 즉, 선납한 세금일 뿐, 최종 세금이 아닙니다. 실제 소득 기준으로 계산하면 과납 or 미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정산을 위해 종합소득세 신고를 반드시 해야 하는 것입니다.

 종합소득세 신고기간

2025년 종합소득세 신고기간은 5월 1일(목)부터 5월 31일(토)까지입니다. 이 한 달 동안, 2024년 1월 1일부터 12월 31일까지 벌어들인 소득에 대해 신고하고 세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대상자는 프리랜서, 유튜버, 작가, 디자이너, 강사, 1인 사업자, 임대사업자 등 '종합소득'이 발생한 모든 개인'입니다. 특히 3.3% 원천징수된 프리랜서 소득이 있는 경우도 해당됩니다. 직장인이라도 부업으로 소득이 있다면 종합소득세 대상이 될 수 있으니 꼭 확인해 보세요.

 홈택스로 프리랜서 종합소득세 신고하는 방법

프리랜서 종합소득세 신고 이제는 홈택스로 직접 하는 분들도 많아졌습니다. 세무사에게 맡기지 않아도 누구나 온라인으로 간편하게 신고할 수 있고, 환급까지 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지금부터 홈택스를 통해 프리랜서 종합소득세를 직접 신고하는 방법을 순서대로 알려드리겠습니다.

홈택스 종합소득세 신고 바로가기

 

홈택스 로그인: 공인인증서 or 간편 인증을 통해 로그인을 합니다.

 

✅ 세금신고 클릭 → 종합소득세 신고 클릭 → 모두채움 신고 클릭 → 정기신고 클릭 → 신고서 작성

 

✅ 기본정보 입력하기 → 주민등록번호 조회 버튼 클릭 후 → 저장하고 넘어가기

 

✅ 이후 본인 소득자료를 입력하시면 됩니다.

  1. 프리랜서로 받은 수입, 부업 수입 등을 입력합니다.
  2. 필요경비(업무비용)를 입력합니다.
  3. 각종 공제사항을 입력합니다. (ex 노란 우산공제, 자녀공제 등)

✅ 세금 자동 계산하기를 누르시고 제출하기를 누릅니다. 신고가 끝나면 바로 [지방소득세 신고이동] 버튼이 뜨는데 위택스로 연결되어 지방소득세도 같이 신고할 수 있습니다.

지방소득세 신고하러 가기

 

 프리랜서 종합소득세 환급받는 방법

많은 프리랜서들이 3.3% 세금을 너무 많이 떼이고 있어서, 실제로는 환급 대상이 되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예를 들어 1,000만 원을 벌고 33만 원을 세금으로 냈다면, 실제 세율이 더 낮을 경우 일부를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환급 시기는 보통 신고 완료 후 1~2개월 이내 입금이 됩니다.

홈택스 환급금 조회 바로가기

 

 프리랜서 종합소득세 절세 팁

 

✅ 업무용 경비를 최대한 입력합니다. (예를 들면 노트북, 카페비용, 교통비 등)

✅ 간편 장부 대신 기준경비율을 적용하면 세금 절감이 가능합니다.

✅ 소득공제 (인적공제, 의료비, 교육비 등)를 빠짐없이 적용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Q&A)

Q1. 신고를 안 하면 어떻게 되나요?

A: 20% 가산세 + 무신고 가산세가 붙고, 소득 누락은 세무조사 대상이 됩니다.

 

Q2: 자동으로 자료가 뜨지 않습니다.

A: 지급처 (클라이언트)가 사업자 등록을 하지 않았거나, 국세청에 자료를 안 넘긴 경우입니다. 이럴 경우 본인이 직접 매출을 입력해야 합니다.

 

Q3:  프리랜서인데도 인적공제를 받을 수 있나요?

A: 네, 가능합니다. 본인 외에도 부양가족 공제가 가능하고, 부양가족은 연 소득 100만 원 이하에 생계를 같이 해야 합니다.

 

Q4: 프리랜서인데 경비 처리가 너무 복잡해요

A: 단순경비율을 추천합니다. 복잡한 영수증 정리 없이 간단하게 신고가 가능합니다.

 포스팅을 마무리하며

프리랜서에게 종합소득세 신고는 선택이 아닌 의무입니다. 매년 반복되는 일이지만, 제대로 신고하면 3.3% 환급도 받고 세무 부담도 줄일 수 있습니다. 처음이라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 홈택스를 활용하면 누구나 스스로 종합소득세를 신고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이 프리랜서 종합소득세 신고에 대한 막막함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